[컴퓨터네트워크]

TCP / IP Protocol Suite (Physical layer)

김채연채연 2022. 10. 3. 20:58

TCP(전송 조절) :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, 데이터 전달을 보증해주며 보낸 순서대로 받는다. 통신하고자 하는 양쪽 단말이 통신할 준비가 되었는지 ,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등을 점검한다. (논리적) -> TRANSPORT 계층

 

IP :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으며, 패킷들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저 목적지를 제대로 찾아가는지에만 중점을 둔다. (비논리적)  -> NETWORK 계층

 

TCP/IP protocol suite => IP의 주소체계와 TCP의 특성이 있는 통신규약의 모음

Physical

  •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계층이다.
  • 선에서부터 연결하는 커넥터나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전력까지 전부 표준화 시킨다.
  • 컴퓨터는 0 , 1 로만 데이터를 표현한다. 그렇기에 아날로그 신호는 전송받지 못하는데 , 이때 컴퓨터가 받지 못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주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해 신호를 만드는 계층이 바로 물리계층이다.
  • 전송방식 : 데이터링크계층의 데이터 단위인 Frame 이 물리계층으로 내려오면, 0,1로 인코딩이 된 후 신호로 바꾸어 전송매체를 통해 통신한다.

 

▶ Digital signals

- 1(양의 전압) , 0(음의 전압) 으로 인코딩한다.

- bit 단위이다.

▶Signal (물리계층과 물리계층간의 통신 방식을 일컫는 말)

- Attenuation : 신호감쇄 -> 주파수별로 감쇄의 정도가 다르다.

-Amplification : 신호 증폭

-----> 오리지널 시그널이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다가 신호가 감쇄(Attenuation) 되면 Amplifier(증폭기) 를 활용하여 다시 증폭(Amplification) 시킨다.

-전송단위는 BIT 와 BYTE

▶Decibel (dB): 시그널의 세기가 감소했는지 증가했는지 보여주는 지표

 

▶Transmission media (전송 매체)

- 물리계층이 관리

제 글씨체 이상한건 이해해주세욧,,ㅎㅎ

▶Wired transmission media (유선 전송 매체)

-UTP : 보호막이 없음

-STP : 보호막이 있지만 비쌈

▶Wireless transmission media (무선 전송 매체)

대표적으론 microwaves 만 기억하자.

▶물리계층 내의 데이터 흐름

-simplex : 단방향 통신

한 쪽에서만 송신 가능 (다른 한쪽은 오로지 수신만)

-Half-duplex :반 이중 통신

양쪽 전체가 송 수신 가능. 하지만 동시에는 붕가능

-Full-duplex : 전 이중 통신

양쪽 모두 동시에 송수신 가능

▶ Network interface card(NIC)

-물리게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서비스를 제공한다.

-LAN 에 연결 지점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이다. 

Data link 

  • 에러가 났는지 안났는지 확인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갖고있다.
  • 연결된 두 개의 노드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.
  • Physical 계층에서 발생한 오류를 수정한다.
  • 보내는 메세지 format 을 frame 이라고 부른다.

Network

  • 여러대의 라우터들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잘게 쪼개어 전송한다.
  • 라우터 :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. 
  • 라우팅 : 패킷을 최종 목적지로 전달하는 기능 (네트워크의 핵심)
  • 보내는 메세지 계층을 패킷 이라고 부른다

Transport

  • 프로세스(진행중인 프로그램) 간의 전달을 담당한다. (Network 계층에서 데이터를 받는다면 프로세스에 띄우는건 Transport 계층이)
  • 예를들면 네이버와 페이스북을 동시에 눌렀을때 어떤 창에 뭘 띄울지 결정 !

Application

  •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층
  •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로의 메세지 전송에 책임이 있다.
  • SMTP , HTTP 등